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조건 합격하는 꺼꾸로 공부법 8단계 핵심 요약하기

by 이켠작가 2024. 2. 23.
반응형

 
꺼꾸로 공부법에서
단계별 핵심만 정리해봅니다



 

1단계 기출 문제 정리하기

 

● 5년치에서 10년치 기출문제를 구한다. 중요한 점은 '기출문제와 해설이 한눈에 보이는 것'을 선택하는게 좋음 일일히 답변으로 이동하면서 보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 처음 3회독은 기출문제와 답을 훑어보는데서 시작한다

해설은 보지 않고, 적어도 1주일 이내에 끝내야한다
 

● 그 다음에 4회독 차례에는 해설을 보는 것이 좋다. 특히 해설에 밑줄을 긋는 방식을 사용하고 계산문제는 문제의 빈칸에 해설을 옮겨 적거나 노트에 옮겨 적으면서 2번 정도 반복한다.

문제와 답이 노드라면 해설은 그 노드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가 된다
이 작업은 2주 정도 투자해도 나쁘지 않다
 

● 그 다음 5회독에는 기출문제별로 자주 챕터와 주제 등을 검토한다.

2년에 한 번 이상 반복되는 주제는 A등급으로 표시하고, 3~4년에 한 번 출제되는 주제는 B등급으로 표시한다
어쩌다 한번 나오는 문제는 버려도 된다
 
결과적으로 기출문제 총 5회독을 읽었다
 
 

2단계 : 기본서에 주제별 빈도 표시하기

 
 

● 기출문제 정리하 기본서 및 참고서 한권을 구하자

최대한 요약정리가 잘되어 있고, 연습문제와 해설이 한눈에 보이는 책을 고른다
그렇다고 두꺼운 책을 고르면 안된다
주관식 논술형 시험은 주제별로 목차와 내용이 간결하고 잘 정리된 책을 사는게 좋다
논술형 시험은 목차와 키워드를 가지고 답안지를 작성하는게 유리하므로 목차와 키워드 표시가 잘되어 있는 책이 좋은 책이다
기출문제에서 했던 빈도수 체크를 토대로 과목별 기본서에 챕터마다 등급을 정하는 일이다
그리고 기출에서 답으로 제시된 내용이 보인다면 그것도 본문이나 제목에 별표 등
중요 표시를 하는 것이 좋다
 
 

3단계 : 하루에 과목별 기본서 1회독 하기

 
 

● 처음 1회독은 속도가 생명이고, 머릿속에 이해보다는 잔상을 남기는 게 중요하다

A등급 표시를 한 챕터를 먼저 훑어본다 자세히 읽을 필요는 없다
기출문제와 답을 떠올리면서 이해가 안되면 그냥 넘기며 한번 훑어본다
대충 읽어보는 수준이지만 중요한 것은 기출문제를 상기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자세히 떠올릴 필요도 없고 그냥 기출문제를 봤던 느낌만 떠올려도 된다
 

● 그 다음에는 B등급으로 표시한 챕터를 훑어본다. 이 부분을 볼때 주의해야 할 점은 뇌를 비우고, 빠르게 눈으로 보고 넘긴 다는 점이다

절대로 시간을 끌거나 멍하니 있어서는 안된다
B등급은 A등급을 읽을 때와 달리 눈으로만 읽고 아무것도 떠올리지 않아도 된다
1쪽당 30초를 넘기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해야한다
이렇게 한번 책을 읽어가는데 하루에서 이틀이 소요되면 성공한 것이다
보통 이작업도 1주일에서 2주일 사이에 끝내야한다
 
 

4단계 : 다시 기출문제로 돌아가기

 

● 기본서를 빠르게 훑어보면서 보았던 키워드나 도표 또는 기억나는 느낌 정도만 상기해도 좋다

절대로 내용에 집착해서 찾아보면 안된다. 그럴 경우 시간이 지체되면서 목표한 잔상을 남기기가 어려워진다
이 작업은 굉장한 효과를 나타낸다. 기본서에서 대충 보았던 내용들을 문제와 답으로 확인하면서 내용과 느낌이
떠오르거나 기억 속에서 연결되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기출문제가 풀리지 않으면 바로 해설을 보고 넘어가는 게 좋다
최근 5년치 기출을 1주일 안에 보면서 해설도 읽어보고 밑줄을 긋는다
이렇게 문제와 답, 해설을 꼼꼼하게 읽어보려고 노력한다
 
=> 예전에 이미지 중심으로 속독을 읽는 기법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 때가 생각난다
 
 

5단계 : 기본서 2회독은 좀 더 자세히 읽기

 
 
지금까지
기출문제를 다섯 번 보았고,
기본서에 챕터별로 등급을 체크하였고
다시 기출문제를 간단히 풀어본 상태라
뇌속에 큰 줄기와 살이 붙었을 것이다
 

● 여기까지 오면 어떤 내용이 문제로 나올 것 같다는 감과 확신이 들수도 있다

이제는 기본서를 조금 더 자세히 읽는다
A등급이라고 표시한 부분은 예제와 연습문제도 풀어본다
B등급의 경우에는 문제를 풀지 않는다
너무 자세히 읽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깊이 생각하지는 말자
아직 그럴 단계가 아니다
 
 
 

6단계 : 기본서 3회독은 챕터별 리뷰로 머리에 새기기

 
 

● 다시 챕터별로 중요도를 표시한 것과 별표시한 것을 기준으로 강약을 조절해가면서 앞으로 나올 내용을 상상하며 읽어내려간다

그리고 챕터에 있는 연습문제와 예제를 한번 풀어보고 해설도 읽어보면 된다

 

● 반드시 해야할 일이 있다

각 챕터가 끝날 때 바로 다음 챕터로 넘어가지 말고 5분을 할애해서 방금 끝낸 챕터의 핵심 키워드와 중요한 내용을
말로 떠들어보자. 이왕이면 휴식시간을 내서 방금 공부한 내용을 가지고 10분쯤 떠들어도 좋다
3회독이전에 하면 오히려 고통스럽고 좌절감만 느끼게 된다
3회독 단계에서 이 작업을 하면 서브노트를 만들지 않아도 저절로 요약을 반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크로스핏이라는 운동을 좋아하는데, 30분 폭발적으로 운동하고 5분간 리뷰하고
또 30분간 폭발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근육량이 엄청나게 늘어난다
3회독 단계를 크로스픽을 하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보면 맞다
 
 

7단계 : 기본서 4회독부터 문제집과 병행하기

 
 

● 지금부터는 B등급의 주제도 꼼꼼히 살핀다

이단계에서는 학원에서 하는 문제풀이 강의와 병행하는 게 좋다
굳이 강의를 듣지 않더라도 문제집을 한권정도 사서 푸는 것을 추천한다
 
 

 
"문제를 푸는 작업은
머리에 입력된 지식을 출력하는 연습이다"

 
 

 

8단계 : 시험 전날 모든 과목을 한번에 보도록 정리하기

 
 

● 시험장에서 시험 범위의 내용이 모두 떠오르게 하는 것이 좋다

시험날 모든 범위를 한번 보도록 양을 줄이고 또 줄여놔야 한다
어느 정도 기본서 반복이 되고 나면 요약집이나 서브노트를 별도로 구해서 반복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아니면 A등급, B등급 주제만 밀 10회독 이상 해두어 시험 전날 순식간에 훑어볼 수 있으면 된다
 
 
저처럼 많이 떨어지지 않고
빠르게 좋은 성과 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